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EXO
- zookeeper
- 아키텍처
- AWSKRUG
- Zappa
- S3
- 메세지큐
- 목표
- ddd
- Kafka
- 백준
- billing
- React
- 하이트진로
- github pages
- Leetcode
- Notion
- 머신러닝
- 회고
- 알고리즘
- amqp
- 2020년
- API Gateway
- AWS
- CloudWatch
- serverless
- 도메인 주도 설계
- LAMBDA
- finops
- 노션
- Today
- Total
인생은 고통의 연속

최신 업데이트(21/5/7) : 결국 출금했는데 떡상해서 5천원됨 ㅋㅋ 2021.05.07 - [블록체인/코인] - 마이닝풀허브에서 짤짤이 코인 출금 후기 마이닝풀허브에서 짤짤이 코인 출금 후기 지난번에 반나절 정도 채굴을 해봤다 2021.04.22 - [블록체인/코인] - 이더리움 채굴 후기 이더리움 채굴 후기 한줄 요약 : 아직도 1500원 출금 못함 ㅋ 오늘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하긴 했는데 재미삼 gnidoc.tistory.com 한줄 요약 : 아직도 1500원 출금 못함 ㅋ 오늘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하긴 했는데 재미삼아서 채굴을 해봤다 채굴 특성상 다른 부품의 성능은 중요하지 않고 그래픽카드만 좋은걸 쓰면 되는데 작년에 코인붐이 오기 이전에 게임용으로 2070super를 사서 쓰고 있어서 이걸로 ..
leetcode.com/problems/two-sum/ Two Sum - LeetCode Level up your coding skills and quickly land a job. This is the best place to expand your knowledge and get prepared for your next interview. leetcode.com 언제든 이직할 수 있도록 코딩테스트 연습하려고 leetcode에 가입했다 그냥 제일 상위에 있는 문제 중 easy 난이도 하나를 골라서 풀었는데 한번에 통과는 했지만 많은 반성을 하게 됐다... 내 답은 이렇게 적었는데 class Solution: def twoSum(self, nums: List[int], target: int) -> List..

최근 백엔드부터 프론트까지 모두 작업해야되는 업무가 있어서 백엔드는 Django를 사용하고 프론트는 React를 사용해서 진행하고 있는데 React를 사용하면서 느끼게된 점들을 쓰고자한다 그리고 React가 SPA고 뭐 이런 기본적인 내용은 생략하려고 한다 사용했던 경험 위주로 작성한다 장점 일단 초기에 매우 강하게 느꼈던 장점들은 이렇다 1. Component JSX를 통해서 구현하는 Component는 너무도 쉽고 강력하기 때문에 리액트에 빠져들게되는 계기가 된다 예를 들어서 1~5까지 출력하는 페이지를 만든다면 아래처럼 딱 필요한 만큼의 html 코드와 js 코드를 병목시켜서 간단한 컴포넌트를 만들 수 있다 // React 컴포넌트 const MainPage = () => { let result =..

festa.io/events/559 GDG DevFest Seoul 2019 | Festa! Festa에서 당신이 찾는 이벤트를 만나보세요. festa.io 19년 10월 20일에 발표했었는데 갑자기 생각나서 기록할겸 적어본다 근데 이거 발표한지도 2년이 다되가는데 블로그말고는 뭘 해놓은게 없네...

발표 녹화 링크 : www.youtube.com/watch?v=a5BiNkqonxE 발표 자료 : github.com/devrel-kr/serverless-korea/tree/main/events/2021/03/slides devrel-kr/serverless-korea 서버리스 한국 사용자 그룹을 위한 리포지토리입니다. Contribute to devrel-kr/serverless-korea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3월 25일 진행 커뮤니티 운영진분 중 한 분과 인연이 있어서 발표할 기회가 생겨서 발표를 했다 원래 서로 얼굴정도는 알았지만 딱히 접점은 없었는데... 마침 GDG 모각글 행사에서 아래 링크처럼 서버리스관련 내용..